日本語
우키시마호 사건
1우키시마호 사건이란
패전 1주일 후인 1945.8.22, 해군 특설 수송선 우키시마호는 아오모리(青森)현 시모키타(下北) 반도에 강제 동원되던 수많은 조선인들을 태우고 오미나토(大湊)항을 출항했다. 조선인들은 '이 배가 마지막 귀향선이다', '이 배를 타지 않으면 더 이상 식량이 배급되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우키시마호에 승선했다. 그러나 우키시마호는 부산으로 직접 향하지 않고 일본 연안을 항해하다가 8월 24일 마이즈루만(舞鶴湾)에 입항하려다 폭발해 침몰했다.
일본 후생성(厚生省)에 따르면, 우키시마호에는 조선인 3735명과 승무원 255명이 승선했고, 이 중 조선인 524명과 승무원 25명이 숨졌다고 한다. 그러나 우키시마호에는 출항 직전에 다수의 조선인이 황급히 승선해 더 많은 조선인이 승선했을 것이라는 증언이 있으며, 9월 18일자 부산일보는 귀국한 생존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사망자 수는 5000명 이상이며, 원인에 대해서도 음모에 의한 자폭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제기했다.
우키시마호 침몰은 일본에서는 보도되지 않았고, 나중에 자폭이라는 풍설이 한국에서 보도되고 있다는 형태로 보도되었다. 일본 정부는 침몰 원인은 미군이 부설한 기뢰에 의한 촉뢰(觸雷)라고 밝혔으나(촉뢰설)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선체는 오랫동안 바다 속에 방치되어 있다가 1950년과 1954년 이이노(飯野) 샐비디 회사가 선체 재사용과 고철 회수를 위해 인양했다. 이때 많은 유골이 수습됐지만, 전문가에 의한 원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결과 다수의 피해자들은 이 사건이 일본 군부에 의한 계획적인 학살이며, 희생자는 수천 명에 이른다고 생각하게 되었다(국가범죄설). 저널리스트 김찬정(金賛汀) 씨는 '우키시마호 부산항으로 향하지 않는다'(1984)에서 한국행을 기피한 승무원들에 의한 폭침임을 시사했다(개인범죄설).
2일본의 시민운동과 저널리스트의 활동
일본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우키시마호 사건이지만, 마이즈루와 아오모리의 재일조선인과 일본시민의 운동, 언론인들의 활동으로 간신히 사건의 풍화를 막아왔다. 마이즈루에서는 1954년부터 매년 위령제가 열렸고, 1978년에는 당시 마이즈루 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건립위원회에 의해 위령비가 세워졌다. 아오모리현 시모키타 지방에서도 강제동원 목격자 진술 청취 등의 활동이 계속되었다. 시민운동 및 언론인의 주요 문헌, 영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폭침’1977 NHK
'우키시마호 부산항으로 향하지 않는다' 1984 김찬정
‘40년째의 바다’ 1985교토신문 연재
우키시마호 사건의 기록' 1989 우키시마호 순난자 추모 실행위원회
‘아이고의 바다’ 1992 시모키타 지역문화 연구소
‘한의 바다’1994아오모리 방송
‘에이지언 블루’ 1995(극영화)
'보고 우키시마호 사건 소송' 2001 공식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재판을 추진하는 모임
‘폭침 우키시마호’ 2008 시나다 시게루
3우키시마호 소송
1990경 광주유족회의 소송을 준비하던 재일한국인 송두회(宋斗会) 씨가 광주에 다수의 우키시마호 사건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이를 별도의 소송으로 제기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광주 유족회 이금주 회장과 역시 다수의 피해자가 있던 충북 영동의 영동신문사 등이 분주하면서 피해자를 모집해 1~3차까지 총 82명의 원고(생존 피해자와 유족)를 모였다. 1992.8.25, 교토지방법원에 제1차 소송을 제기하여, ‘일본 국가는 강제동원이라는 선행 행위로 인해 안전하게 귀환시킬 조리상의 의무를 지고 있었기 때문에 원인이 자폭이든 촉뢰든 피해자에 대한 배상 책임을 진다"고 주장했다.
2002.8.23, 1심 판결은 피해자와 국가 사이에 승선계약과 유사한 계약관계가 있다며 일부 원고에 대한 배상을 인정했다. 그러나 2003. 5.30 2심 판결은 일본의 치안 유지를 위해 다수의 조선인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려도 '당시의 상황에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놀라운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고, 최고재판소는 2004.1.30, 형식적인 이유로 상고 기각, 상고신청 불수리 결정을 내렸다.。
4신발견 자료
사실관계가 분명하지 않은 이 사건에서는 관련 자료를 발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다.이전에는 초기의 교토 시민 운동이 공개시킨 사망자 명부가 유일한 관련 자료였다.
우키시마호 소송 원고단은 소송을 제기하면서 도쿄 후생성을 찾아가 승선자 명부를 비롯한 자료 공개를 요청했다. 그러나 후생성은 사망자 명부 외에는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소송 중에도 원고 측은 승선자 명부가 없었다면 사망자 명부를 작성할 리가 없었을 것이라며 자료 공개를 거듭 요구했고, 결국 승선자 명부에 대한 문서제출명령을 신청했다. 그러나 피고는 명부의 존재를 어디까지나 부인하고 법원의 권고에 따라 신청을 철회할 수밖에 없었고, 정보공개법 제정 이전인 당시로서는 더 이상의 추궁 수단이 없었다.
그런데 2024, 저널리스트 후세 유진(布施祐仁) 씨가 후생성에 정보공개청구를 한 결과, 승선자 명부를 포함한 650건을 넘는 자료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문제는 일본 국회에서도 거론되었고,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에 명부를 전달하겠다고 답변했다. 그 후 명단의 (일부?)가 한국 정부에 전달되었고, 한국 정부는 관련 단체를 모아 설명회를 열었다.
앞으로 새로운 자료의 공개가 진행되어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